파사드 스페셜리스트에게 배우는
파사드 스페셜리스트에게 배우는
그래스호퍼는 라이노의 모델링 기능을 사용하는 플러그인입니다. 또한, 스크립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새로운 형태를 디자인할 수 있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도구입니다.
이제까지 스케치, 모형, 3D 모델링만 했던 디자이너들은 그래스호퍼를 통해서 자신이 몰랐던 디자인 잠재 능력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그래스호퍼를 배운다면 여러분은 디자인 언어를 하나 더 가지는 셈입니다.
우리 모두 새로운 언어를 배울 때 왕도는 없었습니다. 매일 단어를 외우고 열심히 듣고 말하기를 연습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반복의 반복입니다.
그래스호퍼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당장 프로젝트를 하나 만드십시오. 그리고 매일 컴퓨터 앞에 앉아서 그래스호퍼로 문제를 해결하세요.
그런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모르겠다면, 또는 문제가 무엇인지도 모르겠다면, 그리고 그래스호퍼를 어떻게 시작할지도 모르겠다면, 이 강의가 당신에게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09년 라이노 4 시절부터 그래스호퍼를 사용하여 현재까지 파사드 디자인과 파사드 엔지니어링을 주로 했던 건축사가 가르치는그래스호퍼 기본 강의를 이제 선보입니다.
본 강의는 그래스호퍼 기준 초보자부터 기본을 익히고 싶으신 분들까지 무리 없이 수강할 수 있는 기본 강의 입니다.
라이노를 사용하실 줄 모른다면, 기본 라이노 강의 수강을 마치신 후 본 강의를 수강하시면 더 좋은 학습 효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Grasshopper 101“를 추천합니다.
■ 라이노 모델링에 어느정도 익숙하신 분들
■ 그래스호퍼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막막한 분들
박재만 파사드 스페셜리스트
파사드 건축가 및 엔지니어 / 건축사
현 Construction Tech T기업 재직중
현 LECTUS 그래스호퍼 전문 강사
2014 ~ 2021년 9월 – V사 Group의 국내 사무소 근무
2020년 9월 – Galleria in Gwanggyo: Project Case Study (Zak Virtual Festival of Facades)
2017년 – 인터렉티브 파사드 강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5-2016년 – 디지털 디자인 겸임 교수 (가천대학교)
2014년 – 디지털 디자인 겸임 교수 (세종대학교)
2009-2013년 – 디지털 디자인 연구팀 팀장 (H종합건축사사무소): C그룹 광교 연구소 설계 지원 및 국제공항 터미널2 등 외장 설계
참여 프로젝트
2020년 – 서울 E 체육센터 (D Architects): 지그재그 클래딩 및 커튼월
2019년 – 영종도 I 리조트 (H종합설계): 외피 디자인
2018년 – 대치동 C 사옥 (건축사사무소 L): 커튼월 및 유리루버
2017년 – 신촌 도시재생 앵커시설 (건축사사무소 S): 금속 스크린
2017년 – 광교 G 백화점 (O Architecture+G건축): 비정형 유리 기본설계
2016년 – 제주 D 타워 (S건축): 포디움 파사드
2015년 – 송도 스트리트형 복합쇼핑몰 (건축사사무소 M): 초대형 개폐벽
2014년 – 명동 D 파이낸스센터 (B 디자인): 커튼월
강의 명 오른쪽에 ‘FREE’로 표기된 강의는 강의 구매 전 무료 체험해보실 수 있는 강의입니다.
강의 명을 클릭하여 무료 체험 강의를 들어보세요.
기본편: 최소한만 알고 시작하기 | |||
[강의자료]건축_박재만_그래스호퍼101 | 00:00:00 |
활용편1: 라이노처럼 경사로 만들기 | |||
MRPA01_01_그래스호퍼, 누구냐 넌! | FREE | 00:07:00 | |
MRPA01_02_알고리듬의 4단계 해법 | 00:18:16 | ||
MRPA01_03_넘버슬라이더와 패널 | 00:17:40 | ||
MRPA01_04_인터페이스 | FREE | 00:11:06 | |
MRPA01_05_조작법과 단축키 | FREE | 00:16:55 | |
MRPA01_06_초보와 고수를 위한 작업환경 | 00:09:03 |
활용편2: 연산을 통해 계단 만들기 | |||
MRPA02_01_초간단 직선 램프 만들기 | 00:13:11 | ||
MRPA02_02_비정형 곡면 램프 만들기 | 00:09:56 | ||
MRPA02_03_주차장의 곡선형 경사로 | 00:13:17 | ||
MRPA02_04_쌈지길 같은 직선 접근로-상편 | 00:10:24 | ||
MRPA02_05_쌈지길 같은 직선 접근로-하편 | 00:08:03 |
활용편3: 건축물 매스와 파사드 만들기 | |||
MRPA03_01_초간단 계단 만들기-상편(Series) | 00:11:12 | ||
MRPA03_02_초간단 계단 만들기-하편(Range) | 00:07:27 | ||
MRPA03_03_실내 곡선 계단 만들기-상편 | 00:15:11 | ||
MRPA03_04_실내 곡선 계단 만들기-하편 | 00:11:17 | ||
MRPA03_05_나선형 돌음계단-상편 | 00:12:26 | ||
MRPA03_06_나선형 돌음계단-중편 | 00:11:02 | ||
MRPA03_07_나선형 돌음계단-하편 | 00:11:34 |
활용편4: 구현가능한 입면 패턴 만들기 | |||
MRPA04_01_트위스트 타워 만들기-상편 | 00:08:54 | ||
MRPA04_02_트위스트 타워 만들기-하편 | 00:12:44 |
활용편5: 독창적인 애니메이션 만들기 | |||
MRPA05_01_프릿 유리 패턴-상편 | 00:13:59 | ||
MRPA05_02_프릿 유리 패턴-하편(Graph Mapper) | 00:08:14 | ||
MRPA05_03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1편 | 00:14:55 | ||
MRPA05_04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2편 | 00:14:25 | ||
MRPA05_05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3편 | 00:08:58 | ||
MRPA05_06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4편 | 00:09:28 | ||
MRPA05_07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5편 | 00:10:42 | ||
MRPA05_08_상암MBC 입면-어트랙터 6편 | 00:14:22 |
특강 : 콘타 지형 | |||
MRPA06_01_움직이는 미디어 파사드-1편 | 00:12:15 | ||
MRPA06_02_움직이는 미디어 파사드-2편 | 00:10:25 | ||
MRPA06_03_움직이는 미디어 파사드-3편 | 00:08:28 | ||
MRPA06_04_움직이는 미디어 파사드-4편 | 00:09:24 |
수강생들은 어떤 이유로
렉터스의 강의를 선택하나요?
그래스호퍼 강의 잘 들었습니다!
건축전공은 아니지만 그래스호퍼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그래스호퍼 지식이 부족한 저로서 강의를 완벽하게 따라가기에 쉽지 않았지만,
그래스호퍼로 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것들을 배우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가장 인상 깊었던 강의는 이미지샘플러를 활용한 파사드였습니다 ㅎ 좀 더 디테일하게 공부하려고 유튜브 채널도 구독했습니다 !
라이노를 제대로 익히려면 알아야할 그래스호퍼.
건축학과 학생들 대부분은 스케치업 또는 라이노를 사용하고 더 나아가면 레빗을 사용합니다. 모두 3d로 건물을 만든다는 것은 동일하나 라이노가 여타 프로그램과의 차이는 그래스호퍼에 있다고 봅니다. 라이노를 사용한다고 매번 유선형, 곡선의 건축을 하는것이 아니듯. 그래스호퍼를 사용한다고 대단히 특출난 알고리즘으로 건축,데이터화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이 강의를 들으면서 그래스호퍼의 적용 가능성(단순 반복 작업을 줄여줄 알고리즘 만들수 있다는 생각), 알고리즘을 배우고 적용하며 넓어지는 사고의 확장 등을 배웠고 이것을 사용하려고 노력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거라 의심치 않습니다. 물론 많이 어려웠습니다. 이전까지는 고민하지 않았던 컴퓨터의 언어방식으로 개체를 만드는 작업이 순탄치 않았고 오래 고민했습니다. 그 작업이 학생건축설계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었나 하면 그것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라이노를 시작한 건축학도라면 다가오는 데이터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그래스호퍼’라는 프로그램을 알고 한 번이라도 써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시작을 그래스호퍼101로 하면 더욱 쉽고 깊이 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별개로 이 강의에 좋았던 점은 강사님의 질문에대한 답변내용입니다. 모르는것을 물어보면 매번 친절하고 세심하게 짚어주셨습니다. 그래스호퍼라는 알고리즘이 A라는 개체 하나를 만들기위한 방법이 정말 다양한데 명쾌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저의 생각을 되짚어주며 얘기하는 과정이 재밌었습니다.
정확한 수치와 세세한 디테일
원리 원칙 그래스호퍼 강의 이후에 그래스호퍼에 대해서 더 배우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어떤 커리큘럼을 따라가야하는지 막연했습니다. 박재만님의 그래스호퍼 101 강의는 초보자를 위해 만들어져서 그런지 기초적인 부분부터 시작하여 그래스호퍼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세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그래스 호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팁들을 가져갈 수 있는 강의입니다. 그 예로 갈라파고스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갈라파고스라는 컴포넌트는 어떻게 활용 해야할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 컴포넌트지만 최적의 값을 도출해 낼 때도 큰 장점이 되는 되는 컴포넌트 입니다. 그래서 이를 이해한다면 다른 최적화 할때 무척 유리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갈라파고스 컴포넌트를쉬운 예제를 통해 손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또한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한 수학적인 연산들을 다채롭고 정확하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 중 제가 가장 좋았던 것 Expression이라는 컴포넌트인데 여태까지는 한 변수를 복잡하게 연산처리하는 경우가 생길때 여러 수식을 사용했었는데 이 컴포넌트는 그런 과정을 한번에 해결 할 수 있는 유용한 컴포넌트 였습니다. 이뿐 아니라 파라메트릭 디자인이나 미니어 아트 혹은 건축물의 디테일한 부분을 그래스호퍼를 사용하여 해결하고 싶을때 어떻게 할지 갈피를 잡기 힘들때가 많습니다. 이 강의는 그런 난관에 봉착했을 때 어떤 방법론으로 계획해야할 지 알고 싶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