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한 존재의 이유 : Ornament

  1. INTRO : Ornament란 무엇인가?

Ornament와 Decoration의 차이를 아는가. 이 둘은 모두 우리말로 ‘장식’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두 단어 사이에는 근원적인 차이가 존재하는데, 바로 존재의 이유가 분명한지 분명하지 않은지 이다.

구조체와의 관계를 통해 바라봤을 때 Ornament는 구조체와 합일된 장식, Decoration은 구조체로부터 독립된 장식으로 볼 수 있다. 즉, 건물 혹은 제품에서 기능이 부여되어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장식은 Ornament, 사용자의 미적 취향에 따라 존재하는 장식은 Decoration인 것이다.

존재의 이유가 명확하지 않은 장식을 거부했던 모더니즘의 영향으로 현대까지도 Ornament가 적절히 사용된 디자인은 좋은 디자인의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선 Ornament의 개념을 더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예시를 소개하고자 한다.

2. Ornament가 잘 녹아든 디자인

Alienware

첫 번째는 미국의 게이밍 PC 브랜드 ‘Alienware’이다. 고사양 PC의 특성상 cpu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거대한 열 배출구가 필수적이다. 때문에 대부분의 게이밍 데스크탑이나 랩탑의 경우 이 열 배출구가 투박하게 자리잡고 있어 디자인적 완성도를 해치곤 한다. 하지만 Alienware는 다르다. 아래 사진을 보자.

사진출처 : dell 공식 홈페이지

Alienware의 모든 제품은 공통적으로 열 배출구 주위에 rgb라이트를 가지고 있다. 자칫 디자인을 해칠 수 있는 열 배출구에 rgb라이트를 구성함으로써 브랜드가 추구하는 하이테크 컨셉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하고, 동시에 기능적인 부분도 강조하는 훌륭한 디자인을 해낸 것이다.

LG SIGNATURE

두 번째는 LG에서 출시한 시그니처 시리즈의 에어컨과 세탁기이다.

사진출처 : LG전자 공식 홈페이지

에어컨에서 냉기가 배출되는 구멍은 작동 원리로 인해 필수적이다. 때문에 이 구멍을 최대한 아름답게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그중에서도 시그니처 시리즈 에어컨은 원형의 구멍과 컨트롤 센터, 직사각형 형태를 조화롭게 배치하여 단순하면서도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이 보여지는 높은 수준의 디자인을 이뤄냈다.

사진출처 : LG전자 공식 홈페이지

세탁기의 경우 빨래가 들어가는 통과 그 통에 빨래거리를 넣기 위한 입구가 필수적이다. 시그니처 세탁기의 경우 위의 에어컨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입구를 이용해 기하학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냈다. 또한, 일반 세탁기에서 보여지는 입구 상단의 난잡한 컨트롤 센터를 단순화하고 입구에 일체형으로 배치하여 시그니처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작품으로써의 가전. 즉, 오브제’ 컨셉을 구현해냈다.

radiator grill of BMW & ROLLS ROYCE

세 번째는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이다. 자동차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라디에이터 그릴은 라디에이터의 냉각에 필요한 공기를 받아들이는 통풍구 역할을 하며,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전기차가 성행함에 따라 점차 라디에이터 그릴의 본래 목적이 상실되어 오너먼트보다는 데코레이션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보이긴 하나,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이 라디에이터 그릴은 한 브랜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오너먼트 요소로 쓰이곤 한다.

사진출처 : 네이버자동차

위 사진 속 자동차의 두 개로 나누어진 그릴은 BMW에서 생산하는 모든 차량에 적용되는 BMW의 상징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BMW의 초기 모델부터 이어져온 ‘키드니 그릴’은 수 많은 자동차 브랜드들의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상징성과 디자인적 아름다움을 지니는 그릴로 사랑받고 있다.

사진출처 : 네이버자동차

자동차 브랜드에서 가장 아름다운 라디에이터 그릴을 지닌 브랜드를 뽑으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롤스로이스를 고를 것이다. 롤스로이스의 라디에이터 그릴은 판테온 신전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 되었으며 이는 수 십년 동안 모든 롤스로이스 차량에 적용되며 브랜드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라디에이터 그릴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최고급 자동차의 대명사인 롤스로이스가 지니는 권위를 가장 잘 드러내는 디자인 요소가 아닐까 싶다.

3. 건축에서의 Ornament

건축에서도 오너먼트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무의미한 장식을 거부하던 모더니즘 시기 건축가들의 작품에서 이는 특히 잘 보여지는데, 그 중에서도 리처드 마이어의 굴뚝에서 굉장히 아름다운 오너먼트를 찾아볼 수 있다.

Richard Meier – Douglas house

사진출처 : dezeen

미시건호 호안절벽에 위치하는 리차드 마이어의 대표작 ‘더글라스 하우스’는 그의 스승인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기계장치 (그중에서도 유람선) 컨셉으로 설계되었다. 당시 건축물에서 벽난로는 필수적이었는데, 리차드 마이어는 벽난로로 인해 생기는 굴뚝을 스틸 원통으로 제작하여 입면의 수직적인 구성요소로 활용함과 동시에, 실제 유람선 갑판과 같아보이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자칫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해칠 수 있는 굴뚝을 오히려 건축물 전체를 관통하는 컨셉에 녹아들게 함으로써 오히려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 요소로 승화시킨 것이다.

사진출처 : archdaily

리차드 마이어가 더글라스 하우스 이전에 설계한 작품이자, 거의 같은 컨셉, 구성방식을 지닌 스미스 하우스에서도 굴뚝의 수직적 구성요소로써의 적용은 그대로 드러난다.

사진출처 : archdaily

OMA – Maison Bordeaux

반모더니즘 건축가들의 작품에서도 오너먼트는 보여진다. 대표적인 안티모던 건축가 렘 쿨하스의 메종 보르도의 스테인리스 스틸 기둥은 육중한 상부를 지지하는 실제 구조적 기둥이다. 렘 쿨하스는 이 실질적인 기둥을 외부 환경을 반사하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마감함으로써 상부 구조체가 더욱 떠있는 듯한 효과를 구현해냈다. 이 역시 오너먼트를 적용하여 시각적인 특수 효과를 구현해낸 예시로 볼 수 있다.

4. OUTRO

지금까지 소개한 오너먼트의 사용이 보여지는 디자인, 건축 예시들은 모두 미적으로 높은 완성도로 호평을 받았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에 오너먼트의 사용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존재의 이유가 분명한 장식인 오너먼트는 디자인에 대한 설득력을 지니기에 데코레이션보다 높은 수준의 디자인이라고 생각한다.

시각적인 부분에 있어서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건축학이나 디자인 전공 학생들에게 오너먼트에 대해 소개하는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