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In an architect’s art box _ 모형 재료 & 도구

What’s In an architect’s art box _ 모형 재료 & 도구

건축학과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밤샘 작업을 하면서 만들어내는 결과물인 건축 모형.

힘든 모형 만드는 작업을 왜 해야 하는 것일까?

건축학도들이 건축 모형을 만드는 이유

1. 스터디 모델(매스 스터디)

모형이라는 것 자체가 편견 없이 공간감을 느낄 수 있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공간감과 스케일감을 느끼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키울 수 있다. 오히려 3D 모델로 만드는 것보다 손으로 만들어가는 것이 편할 때가 있으며 스터디 모델을 바꿔가면서 편하게 다음 단계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색을 칠하거나, 자르거나 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다.

2. 최종 모델

도면을 읽을 줄 모르는 사람도 건축물의 형태를 경험하고 느낄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보편화되면서 금방 도면도 그리고 3D도 올릴 수 있지만 천천히 모형을 만들면서 내 작품에 대한 오류를 재확인을 할 수 있다.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매개체가 바로 최종 모델이다.

이런 역할을 하는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되는, 건축학과 학생이라면 꼭 필요한 재료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자주 쓰는 도구

30도칼 : 흔히 쓰는 45도 칼보다 절삭력이 좋으며 디테일하게 재료를 잘 자를 수 있음. 자신의 손에 맞는 칼을 찾아서 사용하면 된다. 칼날의 종류도 흑도와 백도가 있다.

칼판 : 칼질할 때 밑에 까는 판으로 테이블 보호 및 재료가 덜 미끄러져서 안전하게 커팅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크기와 색이 다양하여 취양대로 고르면 된다.

칼자 : 다양한 길이의 제품이 있으며 15cm/30cm/60cm을 주로 사용한다. 두께가 두꺼운 칼자를 사용해야 칼이 잘 넘어오지 않아 원하는 데로 자를 수 있으며 손이 덜 다친다.

핀셋 : 세밀한 부분을 붙이거나 만들 때 사용함. 끝의 모양에 따라 휘어져있거나 다양한 모양의 핀셋이 있다.

사포 : 나무 재료 등을 칼로 자른 뒤 다듬을 때 사용한다.

락카 : 다양한 색깔과 종류가 있고 보통 사람 모형이나 자동차 모형 등에 뿌려서 건축 모형에 포인트를 주는 방식으로 작업한다.

라이터 : 입구가 굳어있는 접착제를 녹이거나 아크릴 자를 때 칼을 달궈서 사용한다.

주사기 : 세밀한 부분을 붙일 때 사용한다.

(2) 모형 재료

아이소 보드

주로 스터디 모델 재료로 많이 사용하며 주변 매스를 투박하게 표현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설계 초기에는 볼륨 스터디로 사용하며 실제로는 단열재로 사용한다. 종류는 아이소 핑크/골드/블루폼이 있지만 주로 핑크를 많이 사용한다.

우드락

제일 많이 사용하는 재료 중 하나로 스터디 모형이나 스케일이 큰 콘타, 주변 매스를 만들 때 많이 사용한다. 표면이 반짝거리는 특징이 있어 젯소와 함께 사용하면 반짝거림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재료에 비해 저렴하며 우드락 본드와 함께 사용하며 두께가 1T, 2T, 3T, 5T, 10T가 있다.

폼보드

안에는 스티로폼 밖은 종이로 씌워져 있어 우드락과 종이가 합쳐져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우드락보다 깔끔하지만 상대적으로 자르기 힘들며 비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폼보드나 우드락은 슬라브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한다.

아크릴

투명 아크릴은 주로 사용하여 창문, 유리 재질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딱딱함의 정도에 따라 연질 아크릴과 경질 아크릴로 나뉘며 0.5T~1T는 칼로 자를 수 있지만 경질 아크릴이나 두께가 두꺼운 아크릴은 손으로 자르기 힘들어 레이저 컷팅을 사용하는 게 좋다. 아크릴 전용 칼이 있으며 기본 30도 칼로도 잘리지만 칼날에 라이터로 지져서 자르면 덜 힘들게 자를 수 있다. 연질 아크릴과 비슷한 PVC(더 잘 휜다)가 있으며 불투명 외 색깔도 다양하게 있다.

포멕스

살짝 광이 나며 단단한 편이며 겉과 속이 동일해서 단면부를 자를 때 신경을 덜 써줘도 되는 재료이다.

트레이싱지

반투과성의 얇은 종이로 그림을 겹쳐서 모사할 때 사용하며 투사지로 도면을 그대로 본뜨기 위해 사용되는 얇고 반투명한 제도용지이다.

라이싱지

주 재료가 라이싱지라면 가장 잘 어울리는 것 나무 재료이며 미색과 백색이 있다. 주로 77로 붙여서 사용한다.

로얄지

라이싱지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최종 모델을 깔끔하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종이 종류로 ‘합’ 단위를 쓰며 모형에서 슬라브나 벽을 만들 때 사용한다. 라이싱지와 비슷하지만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나무 재료

나무 종류에 따라 발사 우드, 배스 우드, 채리 우드 등 종류가 다양하다. 색과 단단함의 정도가 차이가 나며 다른 재료에 비해 가격이 나가지만 만들고 나면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발사 우드 : 약해서 잘 잘리지만 찢어지지 않게 조심해야 함. 가장 무름.)

(3) 접착 재료

부분 접착제

록타이드 401 : 우드락에 사용할 경우 녹으며 강력 접착제로 우드락 본드와 더불어 많이 사용한다. 냄새가 아주 심하고 묻으면 뒤처리가 힘들다.

우드락 본드 : 거의 모든 재료를 붙일 때 사용하며 초기 접착력이 약해서 굳을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 있다. 우드락 본드를 짜고 약 3초간 말린 후 붙여주면 덜 힘들다. 묽은 편이라 본드 자국이 나는 편이다.

양면 테이프 : 1mm 처음 사용 시 어려움을 느낄 수 있지만 본드처럼 흘러내리거나 재료를 붙일 때 자국이 나지 않는 점이 좋다. 모형을 오래 보관할 경우 지속력이 약할 수 있다. 본드와 양면테이프를 혼용해서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전체 접착제

75 그래픽아트 (임시 접착 스프레이) : 말대로 임시로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고 있다. 포스트잇처럼 때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정도의 접착력을 가지게 된다. 재료와 도안을 붙일 때 주로 사용한다. 냄새가 심하다.

77 그래픽아트 (강력 접학 스프레이) : 75와 달리 강력하게 접착할 수 있지만 냄새가 더 심하다. 콘타를 만들 때나 넓은 재료를 붙일 때 주로 사용하며 스프레이를 뿌릴 때는 한 번에 다 뿌리려는 것보다는 3-10cm 정도 거리를 두고 얇게 나누어 뿌려야 뭉치지 않는다.

임시 고정용

침핀 : 우드락 등 재료를 임시 고정할 때 핀을 사용하여 고정해 둘 수 있지만 구멍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마스킹 테이프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료 중의 하나로 없어서는 안 된다. 접착제를 굳힐 때까지 모형을 유지해두거나 임시로 도면을 붙여 놓을 때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건축 모형은 주재료를 2~3가지 정도 사용하는 것이 가장 깔끔하고 예쁜 결과물을 가져온다. 건축 모형은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따라 사용하는 재료가 달라지고 또 그 건물의 콘셉트에 맞게 새로운 재료가 사용되기도 하므로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종류를 알고 사용한다면 분명히 좋은 결과물을 만들어 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