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속 생태공원: 서서울호수공원

“폐정수장에서 우리 곁의 친환경 공원으로”

서서울호수공원은 2009년 10월에 개장했으며, 양천구의 옛 신월정수장에 ‘물’과 ‘재생’을 테마로 조성된 친환경 공원이다. 1959년 김포정수장으로 시작된 이곳은 50년 만에 시민의 쉼터로 새롭게 개방되었고, 부천시와 경계를 이루는 능골산의 숲과 등산로를 정비하면서 총 217,946m²의 서남권 최대 규모 공원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바쁜 현대인의 도심 삶에서 잠시 벗어나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과거와 현재 문화가 공존하는 “물과 재생의 공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수도관을 재활용한 다양한 시설물

모두의 안전을 위해 서서울호수공원에서는 자전거, 퀵보드 등의 사용 금지를 권장하고 있다. 이에 공원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자전거 보관대를 볼 수 있다. 갈색 원통이 가로로 길게 놓여 있고 세로로 판 홈에 자전거 앞바퀴가 놓이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 원통은 옛 정수장에서 사용하던 직경 1m의 수도관이다.

자전거 보관대뿐만 아니라, 벤치 또한 수도관을 이용해 제작되었다. 이는 “과거와 현재 문화가 공존”하는 공원의 테마를 잘 보여주는 시설물이다.

#예술로 재탄생한 폐정수장의 시설물

공원의 산책로는 방문자센터 옥상정원으로 연결된다. 옥상정원은 수질을 정화하는 시설인 여과지동의 콘크리트 기둥과 삐져나온 철근을 그대로 남긴 채 조성했다. 단단하고 직선으로 뻗은 철근과 우둘투둘한 느낌의 콘크리트 기둥은 옛 기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등나무와 담쟁이덩굴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무성해지고 있고, 동시에 콘크리트 또한 자연적으로 풍화된다. 날이 갈수록 낡고 쇠퇴하는 것과 나날이 성장하는 것이 만나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은 묘한 분위기를 풍긴다.

몬드리안 정원은 침전조 일부를 남겨 조성한 공간이다. 이때, 침전조는 유해 또는 오염 물질을 분리하거나 가라앉히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통을 말한다. 허름한 옛 구조물과 초록빛 화단이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수직과 수평의 선을 바탕으로 선사하는 조형미를 감상할 수 있는데, 이는 추상화가 몬드리안의 구성기법을 도입한 구조라고 한다.

옛 정수장의 침전조를 부분적으로 존치함으로써 과거의 기억과 장소성을 부여하고, 동시에 현재와 만나 자연스레 융화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다. 몬드리안 정원의 상부에서는 화단과 너른 호수를 조망할 수 있다. 정원 한편에는 정원을 순환하는 수로가 있어 올챙이와 잠자리 등의 수서생물을 관찰할 수도 있다.

몬드리안 정원 내에는 “책방 몬드리안”도 함께 마련되어 있다. 무인 도서관 형태이며, 2~3평 남짓의 작은 유리 부스이다. 아동을 위한 동화책부터 소설책, 에세이 등 다양한 도서가 책장에 비치되어 있다. 책방은 다리 밑에 설계되어 있어 책방의 쉼터들은 모두 그늘이 드리워진 서늘한 느낌을 자아내고 있었다. 여기에서 고개를 돌리면 또 다른 풍경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서울 도심에서 몬드리안 책방을 방문한다면 자연 그리고 책과 함께 여유를 즐기며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지역의 단점을 공원의 장점으로

서서울호수공원을 대표하는 상징물에는 소리분수가 있다. 서서울호수공원 중심부에 위치한 1만 9천 제곱미터 규모의 중앙호수에서 이 분수를 찾아볼 수 있다. 예전 정수장의 중심부에 위치하던 대규모의 호수를 그대로 보존하여 공원 내 자연스러운 호수로 조성된 것이다.

잉어, 붕어, 가물치와 같은 물고기와 수련, 갈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식물과 함께 중앙호수를 구성하는 소리분수는 공원 상공을 지나가는 비행기 소리를 감지하여 작동한다. 그러나 5월에서 10월, 오전 10시에서 오후 6시에만 운영된다고 한다. 공원이 김포공항과 가까워 비행기 소리가 큰 편이라는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 것이다.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

이곳은 벤치에 앉거나 자리를 깔고 쉴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다. 너른 잔디밭 위로 느티나무 등의 큰 나무들이 서 있고, 시야가 탁 트이는 열린 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더불어, 풀밭 중앙에 있는 상수관 조형물은 과거에 어떤 곳이었는지를 기억하게 해주는 장치이자 시각적 장식물이다. 서서울호수공원의 곳곳에서 과거와 현재 문화가 공존하는, 물과 재생의 공간이라는 테마를 보여주는 상징물을 발견할 수 있다.

여의도공원과 동일한 규모의 대형테마공원, 서서울호수공원은 현재 많은 지역 시민들이 여유를 즐기며 다양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공원이자 서울의 상징적인 공원으로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정수장 시설을 재활용했다는 점은 다른 공원과 차별화되는 포인트이며, 공원 내 인상적인 상징물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가동이 중단된 정수장 시설을 재활용한 소중하고 의미 있는 이 공간을 더 아름답고 자연스럽게 가꾸어 나가는 것은 시민들의 몫이다. 서서울호수공원이 친환경 관광명소로 자리 잡아, 서울을 넘어 우리나라의 자랑거리가 되는 날을 기대해본다.

“본 아티클은 LECTUS의 창작활동지원 프로젝트인 렉-크레이션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