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연동, 문화골목 도시재생을 알려주다

대연동 경성대 부경대 대학로에 위치한 문화골목에 다녀왔다.
문화골목은 제목처럼 골목에 위치해 있다. 대학로를 들어가 안에 더 있을까? 싶은 곳에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다.
비밀스러운 공간처럼 안은 나무 목재로 마감되어 있다.
나무 목재는 포근한 느낌과 함께 주변의 오브젝트들과 잘 어우러져 있다.
점점 잊혀 가던 상가 속 작은 건물은 그 속에서 추억을 간직한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문화골목의 생성과정
이곳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이곳은 2008년 ‘부산다운 건축상’을 받은 골목이다. 복합문화공간으로 만들어졌으며, 오래된 건물 같으면서 조경과 어우러진 모습이 신비스러움과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세 개의 입구를 통해 골목에 진입할 수 있다.
그곳에 들어가면 한눈에 들어오는 것들이 있다. 녹슨 종과 연못들 그리고 작은 오브젝트들이 하나같이 예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건물 사이 작은 연못은 무언가 있을까 싶은 동심을 불러일으킨다. 많은 것들이 끊임없이 생기고 사라지는 대학로 속, 아주 새로운 오래된 공간이 나타난다.


문화골목을 구성하는 건물들은 모두 도로에 인접하고 있지 않다.
다른 건축물이었다면 이것이 단점이 되었겠지만. 이곳에선 그렇지 않다. 개인 도로를 직접 만들어 주어 특색을 더했다. 그리고 이런 개인 도로는 ‘골목’을 형성하는 데에 톡톡한 역할을 했다.
다섯 개의 건물들이 붙어 있으며 같은 콘셉트를 이어가고 있다.
최윤식 건축사는 기존의 주택 5채를 매입하고 담장을 허물어 건물의 구조를 살리며 리모델링을 통해 문화골목으로 태어났다. 폐자재를 활용한 바닥 골목 구성과 작은 오브젝트들, 작은 공간들이 하나같이 특색을 심어준다.

문화골목의 배경
문화골목을 건축한 최윤식 건축사는 직접 설계 시공을 하고, 운영까지 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다섯 건물이 하나의 유기체처럼 연결되어 함께 공생하고 있었다. 소극장과 와인바 카페 등이 위치해있는데 이것들이 아늑한 문화골목 속에서 사람들의 문화를 실제로 돋우고 있다.
아늑한 공간 속에서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특색 있는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 또 새로운 사람들이 그 문화를 즐기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진다. 특히 새로운 공간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지만, 골목이 번잡스러움을 막아주고 있다.
소극장이나, 와인바 카페와 같은 공간과 골목이 한데 잘 어우러져 그 특색을 더해준다.
문화골목 효과

또한 이런 문화골목은 새로운 사람들을 이끌어 들이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개인 골목을 통해 들어와야 하는 건물의 특성상 접근이 어려워 상업시설로써 상당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런 색다른 골목을 통해 사람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새로운 재생을 하게 된 것이다. 오래된 것들을 통해 새로운 바람을 이끌었다.
와인 바나 소극장 같은 공간은 특색이 없을 시에 낙후되기 쉬우나 하나의 콘셉트로 다섯 건물이 함께 공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폐자재들을 통해 다양한 느낌을 내어 단순히 옛것을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옛것이나 쓸데없는 것들 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역할을 했다.
이런 공간들이 있을 때 각자의 성격을 가지고 모여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 내는 듯하다.
여유가 없는 사람들도 누구나 들어와 잠시 잠깐 이벤트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소통할 수 있는 공유 장소가 되어 우리에게 휴식을 준다.
다양한 이벤트들 속 우리의 소통 공간의 소중함을 느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