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와 현재가 만나다_도시 한옥, 홍건익 가옥

‘한옥’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나요? 필자는 수백 년의 세월이 느껴지는 목조 구조의 기와집, 특히 고풍스러운 팔작지붕이 떠오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북촌 한옥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옥들은 조금 다릅니다.

같은 근대 재료가 사용되고, 규모도 비교적 작습니다. 이러한 한옥은 1930년대 전후로 도시지역에 형성된 근대 한옥으로 ‘도시 한옥’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에 대한 명칭으로는 연구자별로 차이를 보인다. 개량한옥, 도시형 한옥, 도시 가옥 등등)

도시한옥

<C LeeHeesu 북촌 한옥마을 배렴가옥 사진>

‘도시 한옥’이란 한옥이 근대화・도시화 과정에서 도시지역에 건축되면서 형성된형성된 주거 유형입니다. 도시 한옥은 이전의 한옥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산되었습니다.

전통적인 한옥은 개별 건설되는 방식이었다면, 도시 한옥은 주택업자들이 판매(분양)를 목적으로 주택을 건설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러다 보니 평면이 대부분 비슷하고 형태, 구축방식, 재료 등이 표준화되었다고 합니다.

도시형 한옥의 형태적인 특징은 평면이 ‘ㄱ’자형 혹은 ‘ㄷ’, ‘ㅁ’자형으로 분류됩니다.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등 기능에 따른 공간 구분이 명확한 전통적인 한옥과 달리, 도시 한옥은 공간이 한정됐기 때문에 대부분 ㅁ자 형태의 구조를 가진 게 됐습니다. 그 이유는 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에 의해 필지의 규모가 작아져 나타나는 형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재료적인 특징은 한옥에 유리와 타일, 벽돌 등 근대 재료가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도시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한옥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집니다.

서울에 위치한 도시 한옥 중에서, 도시 한옥의 특징과 전통적인 한옥의 특징을 함께 잘 담고 있는 한옥으로는 ‘홍건익 가옥’이 있습니다. 이곳의 도시 한옥과 전통적인 한옥의 특징들을 살펴봅시다.

홍건익 가옥

*홍건익 가옥은 상인으로 알려진 홍건익에 의해 1930년대에 지어진 도시 가옥이다.
대문체,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채 5동이 언덕을 살리는 구조로 단차를 두고 자연스럽게 배치가 되어 있다. 후원에는 일각문과 우물, 빙고를 갖추고 있어 서울의 도시형 한옥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규모의 가옥이다.
홍건익 가옥은 근대 시기의 한옥의 특징과 전통 한옥의 특징을 동시에 보여주는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

홍건익 가옥의 출입구는 좁은 골목 안쪽에 위치합니다.

좁은 골목에 출입구가 위치한 점은 전통 한옥의 특징입니다. 반면 도시 한옥은 출입문(대문)과 문간채가 골목길에 면하게 배치되어, 평면 ㅁ자 형태 중 아랫부분을 구성합니다.

대문을 지난 후 오른쪽에는 화장실로 쓰는 행랑채가 위치하고 맞은편에는 사랑채가 있습니다.

사랑채는 남자의 공간이자 접객의 장소로, 외부에서 접근하기 쉬운 위치에 있습니다. 도시 가옥에서는 전시실 혹은 다실로 방의 용도가 변화하기도 합니다.

홍건익 가옥의 사랑채와 안채의 지붕은 모두 겹처마입니다.

전통 한옥의 살림집에는 대부분 겹처마를 설치하지 않았으나, 도시 한옥에서는 의장 효과를 위해 부재를 과장하여 사용하여 겹처마를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 겹처마는 비용이 많이 들어 노출부에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홍건익 가옥도 사랑채는 앞쪽에만 겹처마를 시공했습니다.

또한, 근대 시기에 유리문을 달면서 마루를 실내 공간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겹처마: 둥근 기본 서까래 위에 보조 서까래 부연을 함께 설치하는 방법)

중문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안채와 사랑채가 각각 안방과 사랑방으로서 대청마루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습니다. 이처럼 각 건물이 독립되어 구분되면서 마당을 두는 형태는 전통 한옥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채

안채는 집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방, 대청, 부엌 등 다양한 공간이 존재하고 도시 가옥에서도 대부분 실과 위치가 유지됩니다. 중심에는 대청이 보이고 좌측은 안방, 우측은 건넌방으로 전형적인 전통 한옥의 안채 구조입니다. 맨 좌측에 뻗어 나온 부분이 부엌입니다.

처마에는 함석이 덧대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도시 한옥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도시 한옥은 제한된 필지로 인해 처마가 짧아졌기 때문에, 함석 차양을 만들어 처마 선을 강조하고 빗물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별채는 ‘나이 든 어르신’, ‘혼기가 찬 딸’ 또는 ‘출산하러 친정에 온 딸’이 기거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가장을 위한 다목적 용도로 쓰이기도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별당은 건물 내부에서 밖을 내다볼 때 주위 환경이 잘 조망되는 위치한 경우가 많습니다.

홍건익 가옥은 후원으로 갈수록 지대가 높아지는데, 제일 안쪽에 별채를 위치하여 사생활을 보호하고 후원을 조망하는데 좋은 자리인 것 같습니다. 별채 또한 유리를 사용하여 창문을 만들었고, 함석 차양을 사용하여 빗물을 피하고 처마 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어떤 사람들은 도시한옥을 개량한옥으로 집장사집이라고 부르며 다소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근대 한옥이야말로 도시 생활에 밀접하게 맞닿은 삶의 집이라고 생각합니다. 도시 한옥은 도시의 맥락을 단절하는 것이 아닌 지형과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재료를 사용함으로 써 풍부한 도시경관을 만들어 왔습니다.

한옥이란 우리가 보존해야 할 전통이며 잊지 않아야 할 문화라는 맥락에서 도시 가옥은 현대의 흐름에 맞추어서 대중들에게 다가왔고 홍건익 가옥 또한 그 중 하나입니다.

홍건익 가옥은 한옥이라는 전통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제시하고 현대적인 편리함을 추구해 왔습니다. 또한 한옥 고유의 구조를 잘 유지하고 보존함으로써 대중들에게 색다른 전시 형태를 제공하고 참여할 수 있었던 공간이었습니다. 현대적인 건물들 사이에 전통의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홍건익 가옥에서 전통과 근대의 경계를 느낄 수 있었고 그 경험을 많은 사람들이 가져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본 아티클은 LECTUS의 창작활동지원 프로젝트인 렉-크레이션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