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 F1963

와이어 공장에서 문화공장으로

부산시 수영구에 있는 F1963은 철강선 전문 메이커
고려제강의 옛 공장인 수영공장을 리노베이션 한 복합문화공간이다.


수영공장은 1963년부터 45년간 와이어를 생산하던 곳이었지만,
공장 이전으로 인해 2008년 가동을 멈췄다.


이후 공장은 2016년 9월 부산비엔날레를 기점으로 재생 건축을 통해 복합문화시설로 재탄생하였다.

참고로 F는 Factory 공장을 뜻하며, 1963은 수영공장이 완공된 연도를 의미한다.

큰 길에 들어서면 눈에 띄는 건축물이 있다. F1963을 찾아 헤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입구를 통과하여 커다란 광장을 지나면 F1963의 주 출입구가 나온다.

F1963의 내부 형태

주 출입구를 들어서면 외부에서 보이던 모습들이 어쩌다 그런 형태가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상단부를 바라보면 기존 건물의 형태와 골조를 유지한 채 공간을 맞추어 옛것을 활용하되,
머무는 것이 아닌 창의적으로 재해석한 것을 볼 수 있다.

문을 하나 더 넘어가면 큰 중정이 보이는데 우측 벽에는 f1963의 내부 안내도가 보인다.
내부에는 테라로사(카페), YES24(중고 서점), 현대 모터 스튜디오를 비롯한 복순도가(음식점), 국제갤러리 부산점 등의 상업 시설이 입점해있다.

이만큼 다양한 문화 예술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이며
세대의 차이 없이 모두 즐길 수 있는 문화 공장이다.

방문 예정이라면 내부 안내도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중정에 들어서면, 이 곳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내부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F1963 스퀘어는 천장이 열린 공간으로 이전 오래된 공장의 천정을 허물고 현재의 형태로 조성했다.
허물고 난 폐자재는 버리지 않고 방문객을 위한 벤치와 표지판으로 사용되었다.

상단부는 햇빛과 열을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이 설치되어 있었다.
양쪽 벽과 기둥에 연결된 차양이 스퀘어의 전부를 덮지 않고,
필요에 따라 차단막을 통해 빛을 차단하고 있었다.

F1963 스퀘어에는 무대와 객석이 있다. 이곳에서 공연과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정기적으로 오페라, 영화, 공연실황 등을 상영하기도 한다.

답사로 방문 당시에는 아쉽게도 빈 무대였다.

전체 건물의 구조체가 공장의 것을 살린 건축물이다 보니 기둥과 보가 낡은 그대로 존재했다.

F1963 스퀘어 객석 뒤편에 있는 F1963 브릿지를 통해 달빛가든과 Kiswire 본사 주차장과 연결된다.

브릿지를 걷다보면 F1963의 전경을 볼 수 있다.
공장 지붕 마감을 이전 그대로 사용한 건물도 있는 반면, 아닌 건물도 있다.

굉장히 많은 마감 재료를 사용한 듯 보인다. 현대의 재료(폴리카보네이트, 유리, 태양열 패널 등) 와 과거의 재료를 섞은 모습이 기술의 과도기를 보여준다.

브릿지 끝에는 수영과 센텀 방향 풍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가 있는데 H빔과 와이어가 캔틸레버 형태를 지지하고 있는 구조 형태다.

고려제강의 시그니처인 와이어를 활용한 구조체들이 f1963 곳곳에 사용되고 있는 모습을 보니 이곳을 리모델링을 진행하며 얼만큼 삭제하고 더해야 했는지 고민을 많이 한 것이 눈에 보였다.

중간마다 태양열 패널을 설치하여 친환경 건물인 것을 강조한 것 또한 느낄 수 있다.

F1963 브릿지 끝에는 위의 사진과 같은 전망이 보이는데 구도가 굉장히 특이하다.

좌로는 현대식 건축물과 우로는 비교적 과거 형태의 아파트들이 놓여있어 현대 기술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듯 하였다.

F1963 뒷공간

정문의 가장 반대편에는 f1963 도서관을 비롯한 유리온실, 달빛가든이 위치하고 있다.
모든 건물이 박공지붕 형태라 전체 건물이 연결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유리온실에는 다양한 예술 서적이 비치되어 있다.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입구에서는 공장을 리모델링한 차가운 형태의 건물만 보인 반면에
뒤편으로 배치되어 있는 자연을 통해 힐링 할 수 있다.

또한 달빛가든의 길을 넘어가면 수공간이 보인다.

흐르는 물과 정지한 물이 공간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듯 했다.
마치 낙수장을 떠올리게 하는 요소들이 있었다.

이전의 공장 건축물이 본질을 해치지 않으며
현대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건축물 F1963.

이 곳에 방문하여 리모델링 건축의 가치를 구경하면 좋을 것 같다.

“본 아티클은 LECTUS의 창착활동지원 프로젝트인 렉-크레이션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