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선생님 질문있습니다~
안용진
작성자
안용진
작성일
2020-07-03 00:04
조회
7056
렉터스 질문링크가 문제가있은뒤로 확인을 못했다가, 오늘 접속해보니 정상화 되었었네요.
확인이 늦어 죄송합니다.
답변드립니다.
확인이 늦어 죄송합니다.
답변드립니다.
- pe 는 poly edit으로, 우리가 기존에 배웠던 Line과 Pline의 두개의 차이를 알아야합니다.
수업 초반부에는 그저 나눠진선과 묶인선 두개로 배우지만, 뒤에수업을 듣다보면 Pline이, 수업상의 설명하기로 '속성이 부여된선'이라고 표현을하지요. 즉, 선 자체에 속성을 가지고 수정하는작업이 가능해집니다.
join의경우 pl과 l이 같이 있으면, 두개가 서로 묶이질 못합니다. 하나는 속성이부여된선이고 하나는 속성이부여되지않은 일바나선 이라고 수업상에서 제가 표현을하는 다른선이니까요.
그래서 pe를통해 일반선들도 속성선으로 변경후에 묶어주는작업을 하는것입니다.ㅏ - 거의 맞습니다. 즉, 우리가 현장에서 실측하는경우 거기에 덧대어 시공을하지요. 만일 철거후에 공사할예정이라면? 철거를 한뒤 실측을하지요. 그러한 이유로 마감선을 골조선으로 보고 그립니다.
- 이부분은 입대는 사람마다 얘기가 다를 수 있는부분이므로, 제 견해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클라이언트용도면과 시공용도면이 사실 달라서는 안됩니다. 도면 내부 평면을 비롯한 선자체가 달라진다는건 다른건물이되는거고, 내부 글자 숫자를 바꾼다는건 변경된다는의미지요.
그러나, 현실적으로봤을때 클라이언트들은 상세히적어줘도 잘 모르고, 그게 중요하지 않으므로 공간의 구성과 형태,마감등을 적어주는게 그사람들이 요구하는 것이므로, 그러한 정보만을 정리해서 주는겁니다.
반대로, 공사용도면은 그것과는 무관하게 공사를위해 디테일한 설명과 상세가 첨부되어야하지요.
또한 필요한경우 확대해서 확대도면 혹은 상세도면을 그려줘야하는데, 클라이언트들 대부분이 그러한 도면을 요구하거나, 보더라도 알지못하기에 보여줄필요성이 줄어들뿐인겁니다.
이해되시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