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은 우리가 대중교통을 타고 다니다보면 자주 만나게 되는 역이다. 하지만 서울역은 우리에게 이동의 출발점, 환승점 그 이상의 역할은 가지지 못했다. 그로 인해 우리는 그곳을 무심하게 지나칠 뿐 이였다. 또한 그 누가 차량의 통행으로만 사용되는 고가도로에 대해 관심을 가질까? 아마 그 누구도 없을 것이다.
서울로 7017는…

서울로 7017은 1970년 차의 통행을 위해 사용되다가 2015년 안전등급 D등급을 받고 안전성의 문제로 차량의 통행을 중지하고 철거를 논의하다가 산책로로 리모델링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어 2017년 서울역 앞 고가도로를 바꾸어 산책로로 조성시켰다. 70년에 지어져 17년도에 산책로로 바뀌어 서울로 7017이란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서울로 7017는 645개의 원형 화분과 18개의 편의시설, 17개의 보행길이 있는 도심 속 휴식처이다. 17개의 보행길은 단절된 도시길 회복을 목적으로 다양한 상황에 맞도록 보행자 동선을 고려해 만들어졌다. 차량 통행에 이용된 만큼 길이가 길어서 서울의 다양한 구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엇보다 외국 여행객은 서울역에서 내려서 다양한 식재가 심어져 있는 서울로 7017을 통해 유명 여행지인 명동 방향으로 걸어갈 수 있다.

또한 산책로가 서울의 빌딩들 사이에 인접하게 있다는 것을 활용하여 산책로 높이에서 다양한 건물에 들어갈 수 있게 하여 , 숙박시설, 문화시설, 식당 등 접근하기 쉽게 계획하여 산책로써 의미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문화시설으로 느낄 수 있게 하였다.


서울역7017을 거닐다 보면 50과의 다양한 수목식재가 구역을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는 다양한 문화시설이 있는데, 아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트램펄린, 족욕탕, 도서관, 카페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비교적으로 편희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가 부족하다고 느꼈다.
서울역 램프




서울로 7017을 걷다 보면 서울역과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서울역 옥상정원을 구경 할 수 있고 서울역 램프도 구경할 수 있다. 건축학과 학생이라면 그 누구나 서울역 램프에 대해 한번씩은 들어봤을 것이다. 최근에 서울역 램프를 리모델링 하는 공모전이 있었고 당선을 통해 새로운 모습으로 공사하고 있었다. 추후에 어떻게 변신할지 매우 기대가 되는 부분이다.

서울로의 전경
서울로7017를 거닐며 느낄 수있는 전경이 매우 아름답다. 숭례문, 남대문 장로교회, 구서울역, 등 서울 도심에 숨겨져있는 보물을 구경할 수 있는 곳이니 날이 좋은 날 꼭 이곳을 거닐어 보기를 추천한다.




글을 마치며
고가도로를 리모델링한 산책로 서울로7017, 철거계획을 리모델링하는 의견으로 변환 시킨 것은 모든 이들에게 새로운 휴식처를 제공하였다. 만약 고가도로가 철거가 되었거나 구조보수를 통해 차량의 통행으로 지속적으로 사용 되었다면 산책로를 걷는 속도로 여유롭게 도심을 구경하고 산책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 지지 않았을 것이다. 산책과 동시에 여유롭게 서울을 느끼고 싶다면 서울로 7017으로 와 느껴보는 것이 어떨까?
<MG1057 사진 넣기>
